1. transition
transition css속성의 시작과 끝을 지정하여 사이의 애니메이션 효과를 주는 단축 속성이다!
시작하는 속성이 있는 요소에 transition 을 사용하여 사용한다.
/* ex */
.box {
width: 100px;
height: 100px;
background: tomato;
/*단축속성으로 한번에 지정도 가능
transition: all 0.5s ease 1s; 불필요한 것은 생략가능
*/
transition-property: width,background;
transition-duration: 0.5s;
transition-delay: 1s;
}
.box:hover {
width: 300px;
background: blue;
}
- transition-property 효과를 사용할 속성 이름을 설정.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모든 속성이 선택된다.
- transition-duration 효과의 지속시간을 설정한다.
- transition-timing-function 타이밍 함수(애니메이션효과가 빠르게 가다가 천천히 or 천천히 가다가 빠르게 이런 방식)를 지정
값은 ease, linear, ease-in, ease-out, ease-in-out, steps(n) 등이 있다. - transition-delay 효과의 대기시간을 설정한다.
2. transform
transform 요소를 변형(변환) 시키는 속성!
값은 2d 변환 함수
- translate(x, y) x축으로 x만큼 y축으로 y만큼 이동
- translateX(x) x축으로 x만큼 이동
- translateY(y) y축으로 y만큼 이동
- scale(x, y) x축으로 x배 y축으로 y배 확대
- scaleX(x) x축으로 x만큼 확대
- scaleY(y) y축으로 y만큼 확대
- rotate(deg) ndeg 만큼 회전
- skew(x-deg, y-deg) x축을 기준으로 xdeg만큼 y축을 기준으로 ydeg만큼 기울임
- skewX(x-deg) x축을 기준으로 xdeg만큼 기울임
- skewY(y-deg) y축을 기준으로 ydeg만큼 기울임
ex) transform: translate(10px, 10px) scale(1.5, 1.5) rotate(30deg) skew(45deg, 45deg);
한 번에 작성도 가능하고 불필요한 것은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.
'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ss 레이아웃 끝판왕 flexible box 에대해 알아보자 ! (0) | 2020.10.06 |
---|---|
css animation 속성에 대해 알아보자 ! (0) | 2020.10.05 |
css 요소를 띄워주고 위치를 지정해주는 속성! (0) | 2020.10.04 |
css 박스 모델 속성 ! (0) | 2020.10.03 |
css의 중요한 단위 ! (0) | 2020.10.03 |